아태여성정보통신원, 아세안 4개국 인재 초청 "디지털·창업 글로벌 여성 리더 양성"
- 조회수 182
- 작성자 커뮤니케이션팀
- 보도일자 2025-11-14

아태여성정보통신원이 베트남,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아세안 지역 대한민국 중점 협력 4개국 7개 협력대학 우수 여학생 56명을 초청해 디지털ㆍ창업 부문을 이끌어갈 글로벌 여성 리더 양성을 목표로 약 닷새간 디지털ㆍ창업 교육을 진행했다.
유네스코 석좌 수행기관인 아태여성정보통신원은 11월 10일(월)부터 14일(금)까지 서울 용산구 숙명여대 캠퍼스 일대에서 ‘2025 숙명 유네스코 유니트윈(UNESCO UNITWIN) 초청연수’를 개최했다.
이번 초청연수는 지난 6월부터 7월까지 약 2달간 진행한 ‘여성 디지털 및 창업 역량강화 온라인 교육’을 우수한 성적으로 수료한 여학생 56명을 한국으로 초청하여 디지털 및 창업 분야에서 심화 교육을 제공했다. 이를 통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한 단계별 교육모델을 완성하고, 디지털 혁신과 창업 역량을 겸비한 실무형 글로벌 여성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첫날 개회식에는 문시연 숙명여대 총장, 이숙정 아태여성정보통신원장을 비롯한 우리 대학 교수진과 협력대학 학생 등이 참석했다. 유네스코 유니트윈 네트워크를 통해 지속적으로 아태여성정보통신원과 협력해온 베트남 퀴논대학교 도안 득 뚱(DOAN Duc Tung) 총장 및 라오스 수파누봉대학교 봉파싯 한타쿤(Vongphasith Hanthakhoun) 부총장은 온라인으로 축사를 전했다.
문시연 총장은 축사에서 "유네스코 유니트윈 프로그램은 디지털 혁신과 창업 분야에서 여성의 역량 강화를 위한 공동의 노력이 모인 뜻깊은 협력의 장이다“며 ”이번 초청연수가 단순한 배움의 장을 넘어, 혁신을 선도하는 ‘아웃씽커스(Outthinkers)’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닷새간 진행된 이번 초청연수는 창업 분야와 디지털 분야로 나눠 교육을 진행했다. 창업 분야에서는 ㈜펄핏 이선용 대표와 최예지 부대표가 강의를 맡아, 참가자들이 온라인 과정을 통해 수립한 비즈니스 모델을 바탕으로 실제 상품과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직접 개발하는 실습형 교육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비즈니스 모델 구체화, UI/UX 기획, 시장 진입 전략 등 창업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학습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디지털 분야에서는 우리 대학 융합학부 박영민 교수가 강의하여, 파이썬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과 인공지능(AI)·자율주행 기술을 연계한 융합 교육을 실시했다. 참가자들은 데이터 시각화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딥러닝 기반 자율주행 모델을 직접 구현·실험함으로써 최신 디지털 기술의 원리를 실제적으로 이해하고 응용하는 역량을 높였다.

특강 세션에는 클라썸(CLASSUM) 소속 최유진 대표가 'AI 기술 스타트업 분야에서 활약하는 여성 창업가'를 주제로 미래의 창업가로 성장하기 위한 팁을 공유했다. 최유진 대표는 창업가로 성장하기 위한 ‘나다운 차별성’을 강조하며 "스스로의 한계보다 강점을 믿고 과감히 도전해야 한다"고 미래의 디지털 분야 진출 및 창업을 꿈꾸는 학생들을 독려했다.
디지털분야 교육 참여자 칸타리 시빌라이퐁(Khanthaly Syvilaifong) 학생(라오스 라오스국립대학교)은 "창업 교육에 참여하면서 디지털 전환 시대에 비즈니스가 어떻게 변화하고 강화되는지를 직접 체감할 수 있었다"고 말하며, “매 순간 시야를 확장할 수 있었던 뜻깊은 여정이었다”고 말했다.

이숙정 아태여성정보통신원장은 폐회식에서 “숙명여자대학교 창학 120주년을 앞두고 열린 이번 연수는 여성 교육이 국가 발전의 핵심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걸어온 우리 대학의 노력을 다시 한 번 확인한 자리”라며 “참가자들이 이번 경험을 바탕으로 각국의 현장에서 진취적이고 혁신적으로 사회를 이끄는 주역으로 성장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유네스코 유니트윈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고등교육기관 간 지식 공유와 협력 촉진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우리 대학은 유네스코 본부에서 1998년 여성과 커뮤니케이션 석좌 지위를 부여받았으며, 아태여성정보통신원은 유네스코 유니트윈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2016년부터 디지털 및 리더십 교육을 통한 여성 역량강화를 주제로 사업을 운영 중이다.



